R datarium 패키지의 performance 데이터셋을 활용한 성별과 스트레스에 따른 성과점수 변화 분석

R datarium 패키지의 performance 데이터셋을 활용한 성별과 스트레스에 따른 성과점수 변화 분석

R데이터분석_202~2_2_출석.pdf 파일정보

R데이터분석_2022_2_출석.pdf
📂 자료구분 : 방송통신 (정보통계)
📜 자료분량 : 1 Page
🔤 파일종류 : pdf
📦 파일크기 : 652 Kb

2022년 2학기 ~ 포함하고 있다 등 자료설명

이 자료는 2022년 2학기 방송통신대 R데이터분석 수업에서 활용되는 R datarium 패키지에 내장된 performance 데이터셋을 설명한 것입니다. 이 데이터셋은 남녀 60명의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그룹에 속한 참여자들의 연구 시작 시점에서의 성과 점수와 연구 종료 시점에서의 성과 점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별과 스트레스 수준이 성과 점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데이터를 통해 남녀 간의 성과 차이나 스트레스 수준과 성과 점수 간의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R datarium~성과점수 변화 분석 자료의 목차

R datarium 패키지에 내장된 performance 데이터셋은 남녀 60명의 성별(gender), 스트레스 그룹(stress),
연구 시작 시점에서의 성과점수(t1), 연구 종료 시점에서의 성과점수(t2)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음의 문항에 답하시오.

1. 연구 종료 시점에서의 성과점수(t2)의 상자그림을 성별로 나란히 그리시오. 그래프의 제목으로 본인의 학번을 넣으시오. (3점)
2. 성별에 따라 연구 종료 시점에서의 성과점수(t2)의 평균에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시오. (3점)
3. 스트레스 그룹 별로 연구 종료 시점에서의 성과점수(t2)의 평균을 구하시오. (3점)
4. 스트레스 그룹 별로 연구 종료 시점에서의 성과점수(t2)의 평균에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시오. (3점)
5. 연구 종료 시점에서의 성과점수(t2) 값에 따라 ①5.5 이하, ② 5.5 초과 5.8 이하, ③ 5.8 초과 세 그룹으로 나누는 범주형 변수를 만드시오. (3점)
6.

본문내용 (R데이터분석_202~2_2_출석.pdf)

1. 연구 종료 시점에서의 성과점수(t2)의 상자그림을 성별로 나란히 그리시오. 그래프의 제목으로 본인의 학번을 넣으시오. (3점)

# install.packages(datarium)
library(datarium)
head(performance)
# 성별 t2 평균
aggregate(t2 ~ gender, data〓 performance, mean)

cat( ) # 한 줄 띄우기

# 성별 t2 중앙값(2분위수)
aggregate(t2 ~ gender, data〓 performance, median)

# 상자그림
boxplot(t2 ~ gender, data〓 performance, col〓yellow, ylab〓t2(성과점수), main〓본인의 학번)

# 상자그림에 성별 평균 표시(적색 + 위치가 평균임), cex 점의 크기, pch 포인트 종류
points(aggregate(t2 ~ gender, data〓 performance, mean), pch〓3,


  💾 다운받기 (클릭)  


다운받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