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뉴스에서 자주 보게 되는 단어 중 하나가 ‘산불’입니다. 예전엔 봄철 건조기 한두 번 정도 뉴스에 잠깐 언급되던 산불이 이제는 계절을 가리지 않고 발생하고 있고, 그 규모도 상상 이상으로 커졌습니다. 최근 강원도와 경상북도 일대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을 보면 단순한 자연재해 수준을 넘어, 이미 국가 재난 수준이라는 말이 절로 나옵니다. 문제는 이런 일이 앞으로 더 자주, 더 심하게 벌어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왜냐하면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산불은 단순한 부주의가 아니라 기후변화와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기온이 계속 오르고 있죠. 봄은 더 빨리 오고, 여름은 더 길어지고, 가을과 겨울은 점점 짧아집니다. 기상청 자료만 봐도 평균기온이 매년 조금씩 상승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건조한 날씨가 길어지고 있습니다. 자연히 산림의 수분 함량이 줄어들고, 바짝 마른 낙엽과 나뭇가지들은 말 그대로 산 전체를 뒤덮은 땔감이 돼버립니다. 여기에 강풍까지 불면 작은 불씨 하나가 금세 대형 산불로 번지는 건 시간문제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봄 가뭄’이 심해지면서 상황이 더 심각해졌는데요, 이것 역시 기후변화의 직접적인 영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더 무서운 건 앞으로가 더 문제라는 점입니다. 기후 전문가들에 따르면 한국은 산불 고위험 지역으로 빠르게 바뀌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동해안 지역은 ‘산불벨트’라고 불릴 정도로 위험도가 높아지고 있죠. 이대로라면 우리가 지금까지 알던 사계절과 자연환경은 더 이상 유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그리고 그 변화의 징후가 바로 ‘산불’로 나타나고 있는 겁니다.
이쯤 되면 “그래서 대책은 뭐냐?”는 질문이 나올 겁니다. 사실 정부도 가만히 있는 건 아닙니다. 산불 감시 드론을 띄우고, 무인 감시탑도 늘리고, 산불진화헬기도 늘렸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산불 발생 건수는 늘어나고 있고, 대응보다 ‘예방’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이제는 산불을 ‘꺼야 할 불’이 아니라 ‘안 나게 해야 할 불’로 인식 전환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산림 인근 지역의 개발과 정비 기준을 강화해야 합니다. 무분별한 벌목이나 산림 속 무허가 시설들이 산불의 도화선이 되곤 하니까요. 또한 주민 대상 산불 예방 교육도 강화되어야 합니다. 불씨 하나가 마을 하나를 날려버릴 수 있다는 걸, 모든 사람이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합니다.
기후변화 자체를 막는 건 당장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에 대비하고, 피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은 지금 당장 시작해야 합니다. 에너지 정책, 도시계획, 환경 교육까지 전반적인 시스템을 산불에 강한 구조로 바꿔야 합니다. 특히 기후위기를 단순한 환경문제가 아닌 ‘생활문제’, ‘생존문제’로 인식하는 것이 정책 설계의 첫걸음이 될 겁니다.
이제는 ‘우리 동네는 괜찮겠지’ 하는 안일한 생각은 버려야 합니다. 산불은 점점 더 일상으로 다가오고 있고, 기후변화는 우리 삶의 조건을 바꿔놓고 있습니다. 오늘의 산불은 단순한 뉴스 속 사고가 아니라, 내일 우리 집 앞에서 벌어질 수 있는 현실입니다. 정부든 지방자치단체든, 그리고 우리 시민들까지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
늦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더 늦어지면, 더 큰 대가를 치르게 될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