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물리 전자 계측 기기와 회로 이론 함수발생기, 오실로스코프, 리사쥬, 중첩정리, 테브낭 정리, 전압 분배, 휘트스톤 브릿지, 최대 전력 전달 (exp 04.pdf) 다운로드 안내
exp 04.pdf 파일정보
exp 04.pdf
📂 자료구분 : 실험과제 (전기전자)
📜 자료분량 : 18 Page
🔤 파일종류 : pdf 

📦 파일크기 : 635 Kb
실험물리 예비/결과~ 최대 전력 전달) 자료설명
이 자료는 실험물리 예비 및 결과에 사용되는 전자 계측 기기와 기초 회로 이론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함수 발생기, 오실로스코프, 리사쥬, 중첩정리, 테브낭 정리, 전압 분배, 휘트스톤 브릿지, 최대 전력 전달과 관련된 주제들을 다루고 있어 실험에 필요한 기본 지식을 제공합니다. 이 자료를 통해 실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실험 결과를 분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실험물리에 관심 있는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실험물리 전자 계측~f) 다운로드 안내 자료의 목차
예비 레포트 (프리 레포트, 예비 보고서)
1. 실험 목표
2. 이론
3. 재료 및 장비
4. 실험 방법 (과정)
5. 참고 문헌
1. 실험 목표
2. 이론
3. 재료 및 장비
4. 실험 방법 (과정)
5. 참고 문헌
결과 레포트 (결과 보고서)
1. 실험 결과 정리 (실험 데이터)
2. 분석 및 토의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exp 04.pdf)
1.1.1. 함수발생기의 출력 부분과 오실로스코프의 입력단자를 연결한다. 함수발생기에서 만든 파동을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분석했다.
1.1.2. 함수발생기에서 peak-to-peak이 5V인 파동을 보냈지만 오실로스코프에서는 10.2V로 감지하였다. 즉 약 2배의 전압이 측정되었다. 이 이유는 다음과 같다. 함수발생기의 내부 임피던스는 50Ω인데 오실로스코프의 내부저항은 1MΩ으로 매우 크다. 함수발생기의 출력 설정에서 load impedance가 50Ω이라는 것은 아래 그림에서처럼 load impedance를 50Ω으로 예상하겠다는 것이다. 따라서 직렬회로이므로 load에 특정 전압을 걸어주려면 그 전압의 두 배를 출력해주어야 내부 저항 50Ω과 load 저항 50Ω이 1:1로 전압이 걸려 원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실제로 load impedance는 오실로스코프의 내부 저항 1MΩ으로 50Ω에 비해 매우 크다. 따라서 전압의 거의 전부가 load에 걸리게 되어 두 배가 출력되는
1.1.2. 함수발생기에서 peak-to-peak이 5V인 파동을 보냈지만 오실로스코프에서는 10.2V로 감지하였다. 즉 약 2배의 전압이 측정되었다. 이 이유는 다음과 같다. 함수발생기의 내부 임피던스는 50Ω인데 오실로스코프의 내부저항은 1MΩ으로 매우 크다. 함수발생기의 출력 설정에서 load impedance가 50Ω이라는 것은 아래 그림에서처럼 load impedance를 50Ω으로 예상하겠다는 것이다. 따라서 직렬회로이므로 load에 특정 전압을 걸어주려면 그 전압의 두 배를 출력해주어야 내부 저항 50Ω과 load 저항 50Ω이 1:1로 전압이 걸려 원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실제로 load impedance는 오실로스코프의 내부 저항 1MΩ으로 50Ω에 비해 매우 크다. 따라서 전압의 거의 전부가 load에 걸리게 되어 두 배가 출력되는
💾 다운받기 (클릭)
⭐ ⭐ ⭐
다운받기 (클릭)